김포시에 이어 구리시도 서울시 편입 요청

김종미 안산타임스 기자
김종미 안산타임스 기자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6일 김병수 김포시장과 면담한 뒤 ‘김포시 서울 편입 공동연구반’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13일에는 백경현 구리시장과 면담한 뒤 ‘구리시 서울 편입 공동연구반’을 구성할 방침이며 김포시와 구리시뿐만 아니라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도시들을 모두 아우르는 메가시티에 대한 연구를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당선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필자는 김포시에서 기자로 근무했었던 인연으로 김병수 시장과는 선거유세부터 시장 당선 후 시정 활동까지 지켜볼 기회가 있었다.

당시 김병수 김포시장에게 필자가 느꼈던 점은 무척이나 스마트한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지금 그의 행보가 더욱 이해가 되지 않는다.

경기도 기초자자체의 서울시 편입 요구는 과거에도 수차례 있었다. 필자가 광명시에서 30년 넘는 세월을 살아온 광명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광명시는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불 일치하는 대표적인 지역 중 하나다. 다시 말하면 생활권은 서울에 속해 있지만, 행정구역은 경기도에 속하다 보니 공공행정 분야에서 불편한 점이 많다는 것이다.

광명시의 생활권은 여러 측면에서 부천이나 안양이 아닌 서울 서남부(영등포 권역) 쪽 생활권이 맞다. 따라서 상하수도, 택시, 버스, 전화 등에서 서울시의 인프라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광명시는 15분 거리의 목동(신정동) 소재 서울남부지방법원과 지검이 아닌 안산시 있는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안산지청으로 분류된다.

지역번호 02를 사용하는 광명시를 관할 전화국 2곳이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개봉지사: 광명동·철산동·학온동 관할)과 금천구 시흥동(하안동·소하동 관할)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전기 또한 한전 광명지사는 경기지역본부 산하이지만 광명동에 있는 신광명변전소는 남서울지역본부 관할이다. 광명시의 하수처리는 일직동 광명역세권 지구를 제외한 지역은 서울특별시의 서남물재생센터(구 가양하수처리장)가 담당하고 있다.

기상청 관측소 자료에서도 광명시는 경기 남부가 아닌, 과천시와 함께 '서울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1970년대에 유기적인 도시계획 구현의 일환으로 광명시의 서울 편입이 고려되었지만, 위성도시 육성을 통한 서울 인구집중 억제정책 때문에 결국 서울 편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2009년 이명박 정부의 행정구역 통합 추진정책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광명시 지역구(갑 선거구) 국회의원인 백재현 전 광명시장이 서울 편입을 위한 특별법안을 인접 서울지역 국회의원들과 공동발의했지만 결국에는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서울시 편입이 불발로 내세운 이유는 ▲서울/수도권 인구집중 문제 ▲독자적인 자족도시로 조성 ▲지역균형발전 및 자치성 ▲부동산투기 과열 ▲지역 정체성 소멸 등이었다.

그러나 행정에 있어 무엇보다 주민편의가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광명시의 서울 편입에 대한 명분은 차고 넘칠 만큼 많지만 이뤄지지 않은 것은 하나의 소속 광역자치단체를 인접한 특별시의 한 자치구로 바꾸는 것이 법률적, 제도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반증일 것이다.

때문에 지금 김병수 김포시장의 행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김포시의 가장 큰 고충은 교통문제인데 서울시에 편입이 된다고 해서 교통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김포는 인구 50만이 넘어섰고 자족도시로 충분한 자원을 가지고 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넓은 면적, 경기도 31개 시군 중에 가장 많은 중소기업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훌륭한 조건을 가지고 안되는 줄 알면서 서울시 편입을 외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필자는 예전에도 그렇지만 지금도 광명시의 서울 편입을 찬성하지 않는다. 너도나도 서울시에 편입할 바엔 서울공화국이 낫지 않은가?

저작권자 © 안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