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김영희 미술세계ㅣ

김영희 단원작가회 회장
김영희 단원작가회 회장

한동안 초·중학교 교과서 표지에 삽화로 사용되었던 김득신(1754~1822)의 그림 「파적도」는 현대인들에게도 친숙한 작품이다. 이 그림은 ‘파적’―고요함을 깨다― 혹은 ‘야묘도추’―들고양이가 병아리를 훔치다―라고도 불린다. 「파적도」는 소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흘러나오는 긴박함과 역동성이 잘 드러나는 그림이다. 일상의 순간을 해학적으로 묘사한 특출난 작품으로 김득신 풍속화의 백미로 꼽힌다. 인터넷 사이트 내에서도 패러디한 모습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살구꽃이 살랑거리는 날, 농가에서 소동이 벌어진다. 어미 닭과 병아리들은 한가롭게 모이를 쪼고 있었다. 이때 들고양이 한 마리가 호시탐탐 노리던 병아리 한 마리를 잽싸게 낚아채 입에 물고는 달아난다. 그대로 직진해야 할 상황임에도 도둑고양이는 힐긋 뒤돌아보며 잡히지 않을 것을 알고 있다는 듯 여유까지 부리고 있다. 어미 닭은 시뻘겋게 독이 오른 눈을 부릅뜬 체, 고래고래 악을 쓰며 날갯죽지를 푸드덕거린다. 새끼를 되찾겠다는 일념으로 부리를 크게 벌린 채로 내달려간다. 졸지에 새끼를 도둑맞아 애간장 타는 어미의 심정이 오죽하랴. 이 사단에 기겁한 병아리들은 걸음아 날 살려라 하면서 사방으로 뿔뿔이 흩어진다. 한 마리는 다른 방향으로 냅다 뛰고 있다. 화면 구성의 묘미이다. 소란에 놀라 고개를 든 남정네는 하던 일을 내팽개치고 황급하게 장죽을 들고 고양이를 후려치려 하지만 실패하고는 툇마루에 와장창 나둥그러지기 일보 직전이다. 머리에 쓴 탕건은 굴러떨어지고 돗자리틀마저 넘어가 버린다. 이 모습을 본 아낙네는 깜짝 놀란다. 맨발로 뛰쳐나와 넘어진 남정네를 황급히 붙잡으려 했으나 이미 늦은 듯하다. 고양이 한 마리의 등장으로 평화로움이 순식간에 사라지고 마당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돗자리틀이 땅바닥으로 널브러지고 짚단도 떨어진 것을 보아 남편은 돗자리를 짜던 중에 봉변을 당한 것임이 분명하다.

마치 조선의 어느 민가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스톱모션으로 찍어둔 듯하다. 평범하지만 평범하지 않은 일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림 속에 있는 모든 존재가 마치 살아 움직이듯 하기 때문이다.

5대에 걸쳐 20여 명의 화가를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난 김득신을 보고, 정조는 그의 부채 그림을 보고 “김홍도와 김득신은 백중지세”라 평했다고 이향견문록에 전한다. 백중은 형과 아우를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하다는 뜻이다. 그의 특출함에 대한 정조의 칭찬이었다.

작가가 살았던 시기의 사조나 작가 개인의 철학과는 별개로, 명화를 쳐다보고 있는 것만으로 그림이 주는 효과에 마음이 치유된다. 더욱이 소리내어 웃을 수 있어서 마음마저 즐겁게 해주는 이 그림의 가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오늘은 책꽂이의 명화집을 감상하며 훈훈한 마음을 담아 보련다.

 

 

저작권자 © 안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