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김영희 미술세계ㅣ

김영희 단원작가회 회장
김영희 단원작가회 회장

“나는 매화에 대한 편벽이 있다. 스스로 매화대병(매화그림의 커다란 병풍)을 그려 침실에 두르고, 벼루는 매화를 읊은 시가 새겨져 있는 매화시경연을 쓰고, 먹은 매화서옥장연을 쓴다. 매화백영과 같이 매화시 100수를 짓고 내가 거처하는 곳을 매화백영루라 편액을 단 것은 매화를 사랑하는 내 뜻을 혼쾌히 마땅한 것이지 갑자기 이룬 것이 아니다. 시를 읊다가 목이 마르면 매화편차를 달여 마셨다.” 조희룡이 만년에 쓴 자서전적 ‘석우망년록’에 나오는 글이다.

조희룡(1789-1866)은 스스로 ‘매화광인’이라고 자처했다. 매화를 극히 사랑한 매화 화가로 눈만 뜨면 모든 공간에서 매화를 볼 수 있도록 만들었다. 평생을 매화를 품고 향유하며 매화를 그리다 흰머리가 되었을 만큼 집요하였다. 그가 스스로 고백하였듯이 벽이다. 벽은 미쳤다할 만큼 병적으로 집착하는 상태이라지만 결국은 그의 정신을 살찌우고, 삶을 풍요롭게 하였다.

조희룡의 <홍매도 대련>은 창조적 구도의 특징을 잘 나타냈으며 좁은 두루마리 형식으로 두 폭을 마주하여 그린 역작이다. 대련은 작품을 각각 독립적으로 그렸지만, 같이 있어야 제맛을 볼 수 있는 그림이다. 매화 줄기는 승천하는 용을 그리듯 거칠고 힘차며 역동적인 움직임이 화면 가득하여 마치 쏟아져 내리듯 한 규모감을 갖는다. 천개 만개 꽃송이 가득한 홍매화 가지가 자유 분망하게 힘차게 뻗어 있다. 멀리서 보면 줄기가 꿈틀거리고 가까이 보면 웃음소리가 들리듯, 기를 분출하는 붉은 꽃들이 흐드러져 있다. 간략하고 정돈된 일반적인 매화도와 차별화 된 그 만의 고유한 양식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의 좌측 화제는 ‘연지에 봄이 드니 온갖 꽃들이 다투어 피는데 하나의 꽃이 곧 하나의 부처이다. 이는 사람으로 하여금 용화회에 참여하게 하는 것과 같다. 위의 의도로써 그림으로 불사를 이루는 것이 나로부터 시작된 것이다’라 하여 붉은 홍매를 신선의 꽃으로 여긴 것이다. 꽃마다 보살상이 만들어진다고 하여 도교나 불교적인 성향을 보여준다.

홍매도 대련은 조희룡이 신안의 임자도로 유배를 갔던 60대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곳에서 백매, 홍매, 홍백매 등 다양한 유형의 매화도를 많이 남겼다. 그의 화풍이 가장 무르익었던 시기로 유배생활에서 오는 울분과 답답한 심정을 글과 그림으로 표출하였다.

조희룡은 매화도에 대해서는 “태사공(사마천)의 <사기>를 읽는 것과 같다. ”는 비유를 했다. 격정의 역사를 쓴 <사기>의 생동감을 감동의 끈으로, 매화 그림에서 찾아내려 했다니 독특하고 놀랍다. 구부러진 거친 줄기를 강건하고 솟구치게, 더없이 화려한 꽃잎을 힘차면서도 활달하고 열정적이게 그린 것은 그 감정을 담았기 때문이다“

아껴두던 매화차를 꺼냈다. 입 안 가득한 향기, 마음마저 홍매처럼 물든다. 올해도 친구가 매화차를 보내준단다. 고맙게두ㅡ. 창문 앞 따스한 햇살이 저만치 봄을 몰고 온다.

 

저작권자 © 안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