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교육칼럼l

[정인숙] 교육학 박사, 특수교육 전공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코로나 블루 blue)이 깊어지고 이혼(코로나 이혼 covidivorce)’도 급증하고 있다.

게다가 태풍 ‘마이선’에 이어 ‘하이난’까지 대한민국을 고통에 빠지게 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생활하수 등으로 인한 녹조와 적조 현상, 무리지어 농사에 해를 끼지는 새 떼, 멧돼지들까지 등장하여 사람을 괴롭힌다.

우리의 생명을 책임지는 숨 쉬는 공기에서의 바이러스 전염을 배제할 수 없고 목숨과 직결되는 물의 오염은 심각한 불안을 자아내고 있다. 또한 과거보다 훨씬 큰 위력으로 다가오는 잦은 홍수나 가뭄, 산불, 우박, 강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농업이나 어업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과거에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나라를 뺏고 뺏기는 치열한 삶을 살았다면, 현재 우리는 어쩌면 전쟁보다 무서운 환경오염이나 바이러스와의 투쟁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언제나 우리에게 평화롭게 존재해 줄 것으로 믿었던 ‘공기’와 ‘물’ 등 자연(自然)이 반란을 일으키고 있다. 공상 영화에서나 보던 놀라운 공포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런 재해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은 인간에게서 나오고 우리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한 모든 노력을 다 해야 한다.

하지만 자연(自然)을 이길 만한 힘을 인간은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자연 환경 변화에 적응해 갈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 봐야 한다.

왜 이런 고난의 시기가 우리에게 찾아와서 모든 것을 꽁꽁 묶어두는지를 개탄하다보면 한없이 불행해지고, 우울해진다. 하지만 그렇게 몰아치던 태풍도 지나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청명한 하늘과 산뜻한 공기, 따스한 해님이 우리를 맞이해 준다.

우리에게도 아름다운 시간들이 다시 올 것이라는 희망을 안고 암울한 상황일수록 나의 행복의 열쇠를 찾아서 행복지수를 스스로 높여보면 어떨까?

지난 시대를 한 번 돌이켜보자. 역사 속에서 백성이 편한 태평성대가 그리 많았던가?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 그리고 양반과 상놈이 존재하고, 여성은 많은 자녀의 양육, 식사준비와 빨래, 바느질, 다림질 등, 고된 노동의 시간을 이어가며 살아갔던 시기가 있었다.

그러나 이런 한국의 역사도 시간 속으로 사라져 가고 지금은 OECD(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에 살고 있다. 우리는 예전 시대보다는 행복한 세대가 아닐까? ‘현상(現狀)’ 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 개개인은 가능한 만큼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야 한다.

그리고 ‘아픔’이 후대에 이어지지 않도록 사회 맥락(脈絡)을 만들어 가야 한다. 어려운 고난의 시기이지만 뭔가 행복지수를 높이는 묘책을 찾아나서야 할 것 같다. 행복지수가 1위인 덴마크는 선진적인 복지국가이다.

복지국가란 국민전체의 복지 증진 및 행복 추구를 국가의 가장 중요한 사명으로 보는 국가로 사회 안전망 구축, 의료서비스, 교육 보장 등이 마련되어 있고, 특히 자본주의국가에서는 완전고용·최저임금보장·사회보장제도 등이 중요한 척도가 된다.

그러나 덴마크의 높은 행복지수는 단순히 복지제도에 있지 않고 개개인의 사고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덴마크 사람들은 ‘자신을 남과 비교하거나 부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면서 이웃과 함께 연대하는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고 한다. 아이들이 세속적인 가치 기준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초등학생 때부터 즐거운 일을 스스로 선택하게 하고 성적이나 등수로 비교하지 않도록 지도하며, 무엇보다 자기가 하는 일에 자부심을 갖도록 교육한다고 한다.

행복한 개인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일터, 사회가 연계되고 행복하여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사회 제도가 덴마크처럼 변화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우리 개개인이 실현할 수 있는 ‘열쇠’는 한 편에서 찾을 수 있다. 바로 ‘세속적인 가치 기준’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물론 학교교육으로부터 이런 사고방식이 체계화되어 형성된다면 참으로 이상적이겠으나, 그렇게 배우지 않았더라도 남과 비교하거나 부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을 주위에서 볼 수 있다. 우리 모두가 이런 사고방식을 좀 더 확장(擴張)해가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고, 그 일을 ‘사랑’하며 살아간다면 그 안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Bravo My Life (Song by 봄 여름 가을 겨울) 노래 가사의 일부처럼 ‘Bravo Bravo my life 나의 인생아〜, 찬란한 미래를 위해〜, 지금껏 달려온 너의 용기를 위해〜, 일어나 앞으로 나가 니가 가는 것이 길이다〜’ 나의 일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나만의 가치 기준’을 만들어보자.

그리고 ‘상대적 비교’보다는 자신만의 향상도(向上度)를 기준으로 하는 ‘절대적 비교’로 나의 ‘행복의 열쇠’를 찾아가며 살아보자.

저작권자 © 안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